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능사+웹개발 국비 수업

[정보처리기능사 + WEB] Java - 자료형과 조건문

by 용굥이 2023. 6. 3.

 자료형

● 자료형(Data Type) : 정수, 실수, 문자(열) 각각에 맞게 저장

   * 컴퓨터는 0, 1로만 구성 : 1bit < 1byte(8bit) : 저장공간
     - Primitive Type : 첫글자 소문자
     - 정수형 : 실수가 아닌 것

     - byte(1) : 데이터 전송
     - short(2)
     - int(4)
     - long(8)
     - 실수형 : 소수점 있는 것
     - float(4) : 소수점 자리수가 7자리 이상이면 오차 발생 - gps
     - double(8) : 소수점 자리수가 15자리 이상이면 오차 발생
     - 문자(형) : 문자 작은따옴표, 문자형 큰따옴표
     - char(2) 'A', 'B' : 한글자
     - 논리형 : boolean(1) -> true, false


   * int(정수형), double(실수형)
     - Reference Type : 첫글자 대문자, 객체, 배열
     - String str = new String("aaa")

 

 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//정수를 저장 : 저장할 이름은 num, 저장할 값은 100 정수형이니까 int

//데이터타입 변수명 = 값; 데이터는(=값)

int i; //stack 메모리에 i라는 저장 공간이 할당이 되는데 공간 크기는 4byte로 설정

i = 100; //메모리 i 공간에 값을 저장

int num = 100;

 

 

//실수를 저장 : 저장할 이름은 d, 저장할 값은 10.0 실수형이니까 double

//데이터타입 변수명 = 값;

double d; //stack(저장공간)에 8바이트 공간을 설정

d = 10.0;

double d2 = 10.0;

 

//문자(열) 처리 : String

char c; //스택 공간 설정

c = 'A';

char ch = 65; //

 

System.out.println(c);

System.out.println(ch);

 

//boolean 참, 거짓 : 무한 반복 또는 flag 참 또는 거짓 중 하나만 표시해야 할 때

boolean b;

b = false;

 

//문자열

String s;

s = "abcdef123456";

 

System.out.println(s);
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----");

 

int data = 10; //사람이 사용하는 숫자는 10진수

//2진수 -> 컴퓨터가 사용하는 숫자는 2진수

System.out.println(Integer.toBinaryString(data)); //binary = 2진수

 

//8진수 -> 2진수가 너무 길어서 3자리씩 줄인 것

System.out.println(Integer.toOctalString(data));

//16진수로 바꾸기 -> 2진수가 너무 길어서 4자리씩 줄인 것

}

 


조건문

조건문을 알아보았다.

조건문 종류를 간단하게 확인해보자면 if 와 switch 문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 먼저 알아본 것은 if 문으로,

if 와 if ~ else, if ~ else if ~ else 이렇게 세 종류가 있다.

if 는 하나의 조건으로 작성되어 당연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if ~ else 와 if ~else if ~ else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았다.

 

1. if ~ else

ex) 성적이 90점 이상이면 '최고 등급', 아니면 '보통' 이 출력되게 함

변수를 score 로, 값은 85로 지정하여 int 자료형으로 받았다.

위 내용처럼 코드를 작성한 출력 결과

90점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으로 출력이 되었다.

 

2. if ~else if ~ else (다중if)

다음으론 다중 if 로, if ~else if ~ else 로 구성이 되어있다.

ex) 회원등급이 80이상이면 우수 -> if(조건)
      회원등급이 50이상이면 보통 -> else if(조건)
      회원등급이 50미만이면 미가입 -> else (조건x)
      회원등급 변수명 : grade / 값 : 90

위처럼 코드를 조건을 맞춰서 작성해주면 출력결과가 그 조건에 알맞게 출력이 된다.